태양광모듈 구매 개선을 위해 사용할 수있는 심리학의 10가지 원칙

대형 민간발전사업자들이 태양광 발전에 이용할 모듈을 전량 중국산으로 채우고 있다. 국내외산을 사용해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인데, 중국 업체 배를 불린다는 지적이다. 국내 사업 생태계를 위하여라도 대형 발전산업자들이 일정량 이상 해외산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남해 한 섬에서 추진 중인 100㎿ 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에 들어갈 모듈이 전량 중국산으로 확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100㎿는 단일 태양광 발전 산업 크기 가운데서도 대형에 속된다. 통상 태양광 발전설비를 짓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당 평균 5억원을 웃돈다. 요즘에는 모듈 단가 상승으로 4억원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에는 해외산 모듈이 일부 채택끝낸다. 요번처럼 중국산 모듈로만 채워진 것은 이례적이다.

image

이 프로젝트는 대형 민간발전산업자인 A사가 별도 특수목적법인(SPC)를 세운 후 추진하고 있다. 올해 말 준공 예정이었으나 내년 상반기께로 연시간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산업 지역단체 직원은 “A사가 제출한 태양광 단지 발전 계획을 보면 올해 말 준공하는 것으로 기재돼 있을 것이다”면서 “그러나 다체로운 가지 이유 http://www.bbc.co.uk/search?q=태양광 모듈 등으로 준공이 늦어지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대형 민간발전산업자 가운데 중국산 모듈을 채택하는 곳은 늘고 있을 것입니다. 대부분 회사가 상당 비중 중국산 모듈 때로는 중국산 셀을 매출한 후 조립한 국산 모듈을 채택했거나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에너지공단의 말을 인용하면 지난해 국내외 태양광 모듈 보급량은 총 3967㎿로, 이 가운데 국산 셀을 이용해 만든 태양광 모듈 비중은 28%(877㎿)에 그친 것으로 보여졌다.

문제는 대형 민간발전사들이 굳이 국산 모듈을 사용해야 할 원인이 있지 않고, 강제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중국산 모듈 가격은 국산 예비 약 60% 저렴하고, 일부 중국 기업은 공격적 마케팅까지 전개하고 있을 것이다. 제품 보증 시간을 대폭 늘리거나 중국산을 이용했을 때 얻는 불이익을 대신 제공하는 식이다. 대표적인 것이 탄소인증제다. 정부는 모듈별 탄소배출량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제공의무화(RPS) 고정가격계약 입찰 선정 시 차등 인센티브를 적용끝낸다. 일부 중국 회사는 탄소인증 6등급을 받지 못한 모듈을 태양광모듈 판매 판매하면서 가격을 낮추어주거나, 일정 자금 참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에선 중국산 모듈을 잡아내는 절차에 돌입하였다. 한무경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달 신재생에너지 설비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는 '태양광 모듈 원산지 표시법'을 대표 발의하였다.

한 민간발전산업자 지인은 “중국산 태양광 모듈이 사후케어(AS)나 품질 등 측면에서 국산 준비 수준 높은 것은 아니다”면서도 “하지만 설비 비용을 가능한 떨어뜨려야만 투자 회수 시간을 앞당길 수 있어 중국산 선호가 뚜렷해지고 있을 것입니다”고 전했다.